1. git 설치, SSH 세팅하기
2. 로컬 저장소(Repository) 생성
내가 작업할 폴더로 들어간 후 우클릭 gitBash 오픈한 후
$git init
이 때 기존 github에 있는 저장소를 내 로컬로 복제하려면 새로 생성하지 않고 복제할 수 있다.
$git clone
3.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
$ git add . //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업데이트 된 파일 전부 스테이징 영역 추가
$ git add -A //수정된파일 전부를 스테이징 영역 추가
$ git status //현재 add 내역 확인
스테이징을 했지만 취소하고 싶다면?
$ git reset
$ git reset --hard // 이건 내 작업파일까지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 *주의요망*
4. Repository 에 commit
$ git commit -m "해당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, 공유할 메세지 내용 적기"
5. 원격 저장소에 push 해서 올리고, 업데이트 된 내용은 pull 해서 가져오기
//원격저장소 연결
//여기서 origin은 remote repository의 이름이 되고, 다른 이름으로 설정 가능
$ git remote add origin <Repository github URL>
//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in 브랜치에 push
$ git push origin main
//다른 사람이 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에 업데이트한 파일이 있을 때, 원격저장소와 내 로컬저장소의 상태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 pull
$ git pull
'What I Lear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PT - 여행 사진 & 후기글 공유 뉴스피드 플랫폼, 트래블로그(TRAVELOG) (0) | 2023.07.03 |
---|---|
SwiperJS 슬라이드 라이브러리 사용해보기 (0) | 2023.05.17 |
git & github으로 협업하기 (git 기초) (0) | 2023.05.16 |
웹 스크래핑(크롤링) 기초 [Beautiful Soup 뷰티불수프 라이브러리] (0) | 2023.05.04 |
mongoDB 사용하는 법 & pymongo 요약 (0) | 2023.05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