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미 클론해온 코드를 가지고 작업, 이후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생성하여 새롭게 코드를 업로드 해야했다.
찾아보니 방법은 두가지가 있었다.
1. 새로운 저장소로 기존 저장소를 복제하는 방법
--1. 기존 저장소를 로컬 컴퓨터로 복제
git clone <기존 저장소 URL>
--2.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한 저장소를 사용
--새로운 저장소를 로컬 저장소의 리모트로 추가
git remote add origin <새로운 저장소 URL>
--변경된 리모트 URL로 푸시하여 새로운 저장소로 코드를 업로드
git push origin master
2. 로컬 저장소의 리모트 URL을 변경하는 방법
-- 1. 로컬 저장소로 이동
cd <로컬 저장소 디렉토리>
-- 2. 현재 리모트 URL을 확인
git remote -v
-- 3. 리모트 URL을 변경
git remote set-url origin <새로운 저장소 URL>
-- 4. 변경된 리모트 URL로 푸시하여 새로운 저장소로 코드를 업로드
git push origin master
나는 두번째 방법으로, 새롭게 레파지토리를 생성한 후 작업중인 로컬에 새로운 URL을 바로 연결해줬다.
깃에 점점 익숙해지고 있다..
'What I Learnd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- Json Server 설치 & 사용법 (0) | 2023.07.04 |
---|---|
TIL - Redux-ToolKit 리덕스 툴킷이란? (0) | 2023.07.04 |
TIL - Commit Message Convention (0) | 2023.06.27 |
TIL - JavaScript에서 바로 꾸며주기! Styled Components로 컬러 변경하기 (0) | 2023.06.20 |
TIL - dafualt style 제거하기 (CSS RESET) (0) | 2023.06.20 |